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작성 완전 분석 ┃ 2부

등록일2023-03-30

지난 시간에는 사업계획서의 개요와 요약 페이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PSST 중 그 첫번째 ‘Problem: 문제인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계자료와 수치자료를 활용하세요"

 

문제인식 파트에서는 사업아이템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심사위원을 설득해야 합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인지, 혹은 특정 고객에게 강력한 이슈인지 확인하고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는 것을 심사위원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통계와 수치자료를 근거로하여 피력해야 합니다.

 

통계자료는 문제에 객관성을 부여하고, 그 규모의 추산치를 산출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기 좋은 무기가 됩니다.

뿐만 아니라,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내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해결됐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과 사회적 임팩트를 한 번 더 정확하게 확인하여

사업의 목표와 방향을 재정비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자료는 간단한 검색으로도 얻을 수 있는 반면,

어떤 자료는 정보가 산재해 있어 일일이 수집하고 집계해야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를 갖고 면밀히 조사해 보아야합니다.

통계청이나 논문, 각종 리서치 등을 활용하면 양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각 파트에서 요구하는 핵심 요소를 파악하세요"

 

일반적으로 문제인식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동기

1-2.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목적

1-3. 창업아이템의 목표시장 분석

1-4. 고객 요구사항 분석

 

1-1.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동기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동기 파트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잘 표현되어야 합니다.

외적 동기는 사회, 경제, 기술 분야의 문제점과 기회에 대한 내용이고,

내적 동기는 대표자 및 자사의 보유역량, 가치관 비전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파악한 문제점(외적동기)에 대해 어떻게, 그리고 왜 해결하고자 하는지(내적동기)

글에 녹여내어야 합니다.

 

심사위원의 관점에서 보면,

기업이 제시한 문제점이 객관적으로 이슈인지(objective),

이 기업이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지(ability),

이 기업이 진정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지(authenticity)

검증이 되어야 좋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1-2.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목적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목적 파트에서는 현재 시점의 제품·서비스의 개발 상태 등을 설명하고,

개발 동기에서 발견한 문제점·기회에 대해 해당 제품·서비스가 제시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해결방안,

개발/개선의 필요성, 고객들에게 제공할 혜택 등의 관점에서

개발/개선하려는 목적을 기재해야 합니다.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동기 파트에서는 어떤 문제를 왜,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하여 기재했다면,

창업아이템의 개발/개선 목적 파트에서는 문제 해결의 구체적인 방법

이를 통해 이루고자하는 목적, 즉 결과물에 대해 작성해야 합니다.

 

1-3. 창업아이템의 목표시장 분석

 

창업아이템의 목표시장 분석 파트에서는

현재 진입한, 또는 진출하려는 목표시장의 규모와 상황 및 특성,

경쟁 강도, 향후 전망(성장성), 주요 고객 특성 등을 기재해야 합니다.

 

목표시장 분석에서 통계적 근거자료는 필수입니다.

기존 시장 분석에 대한 통계자료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나,

새로이 시장을 개척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시장 조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통계적 근거자료를 기반으로

시장의 규모를 추산하고 ‘주장’해야 합니다.

 

시장 분석의 방식은 주로 Top-down 방식 Bottom-up 방식이 있으며,

자주 쓰이는 분석 방법으로는 TAM-SAM-SOM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추후 새로운 컨텐츠를 통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4. 고객 요구사항 분석

 

고객 요구사항 분석 파트에서는 현재 제품·서비스의 검증을 통해 조사·분석된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기재해야 합니다.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누가 나의 고객인지를 명확히 해야합니다.

또한, 그 고객이 어떤 니즈를 어떻게 표출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하며,

만약 감추어진 니즈일 경우 어떻게 이끌어낼 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객 요구사항 분석은 일반적으로 5단계로 진행됩니다.

Step 1. 고객정의

Step 2. VOC(Voice of Customer) 조사

Step  3. CCR(Critical Customer requrement) 도출

Step  4. CTQ(Critical to Quality) 도출

Step 5. 현 수준 파악 및 목표 설정

이 순서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객 요구사항 분석 파트에 녹여내야 합니다.

 

3줄 요약

1. 근거가 되는 통계자료를 꼭 사용하라.

2. 심사위원을 설득하라.

3. 각 파트별 적합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라.

 

다음주에는 3부로 돌아오겠습니다.

 

사업계획서 작성법 완전 분석 ┃ 3부 보러가기

---

올인원 정부사업 협업관리 솔루션, 웰로비즈

똑똑하게 정부사업을 관리하시고, 다양한 지원을 토대로 더 빠르게 성장하세요!

지금 회원가입 하고 다양한 사업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 지원사업 · 조달사업 추천 및 검색
  • 민원 서류 자동 발급·갱신
  • 서류 관리 저장소 용량 1GB
  • 합격 샘플 가득!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 서류 제출 시간을 단축하는 바로지원
7일 무료로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