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국가 블루카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용역_재공고
최대 5억
2022.03.04 ~ 2022.03.14
모집마감해양수산부
사업 내용
사업 개요
❍ 1992년 지구온난화 예방을 위해 채택된 기후변화협약은 인위적으로 배출된 온실가스를 지구온난화의 주요 요인으로 규정하고,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할 것을 천명함 -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에서는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참여하기로 하였으며, - 파리협정에서 제시한 목표인 1.5°C 이내 온난화 억제가 새로운기후변화대응 목표로 인식되고 있음 ❍ 우리나라 역시 1.5°C 지구온난화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할 것을 선언하였으며(‘21), 이를위해 온실가스 흡수원의 유지와 확대를 주요 감축수단으로채택함 - 우리나라는 2016년 최초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하였으나, 흡수원을 정책 수단으로 포함하지 않음 * 산림 흡수원은 2018년 NDC 수정과정에서 정책 수단으로 포함 ❍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및 2030 NDC 상향안은 해양부문 흡수원을 새로운 정책수단으로 포함하여 중·장기 목표를 제시 - IPCC*에서 인정하고 있는 해양 부문 흡수원은 맹그로브, 염습지, 해초대가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염습지와 해초대가 분포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그 밖에 공식 흡수원으로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비식생갯벌,해조류, 패각 등 블루카본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진행중 ❍ 파리협정에 따라 모든 당사국은 2024년부터 국가 온실가스인벤토리 및 NDC의 이행에 대한 자료를 기후변화협약사무국에 제출해야 함 ❍ 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IPCC 지침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생산·공표하고 있으나, 연안습지 등 블루카본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 IPCC는 습지보충지침(‘14)을 통해 연안습지의 이용 및 유지에따른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기후변화협약총회에서는 최신 지침을 적용하여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도록 결정(’19) - 정부는 2017년부터 국내 블루카본의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산정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그 성과로서 염습지, 해초대및 비식생갯벌에 대한 인벤토리 산정기반 마련 * 국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2017~2021) ❍ 블루카본의 흡수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블루카본 반영 및 국가인벤토리 산정지침에 따라 매년 온실가 ❍ 2022년 블루카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및 보고 ❍ 블루카본 인벤토리 개선을 통한 국제 수준의 인벤토리 기반구축 ❍ 블루카본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 국제 인정에 기여스 배출·흡수량에 대한 산정·보고·검증이 필요
지원 내용
❍국내 블루카본 분포면적 및 변화량 모니터링 - ‘21년 블루카본 3종(조간대, 염습지, 해초대)에 대한 분포면적 산출 ◦ 블루카본 모니터링을 위해 가용한 국내외 중·고해상 광학위성의 연간 영상데이터 콜렉션 구축 ◦ 다중위성영상 기반 블루카본 종류별 객체분류(classification) ※ 해양수산부 ‘국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의위성영상 분석방법론 적용 ◦ 영상객체분류검증데이터(기존문헌,현장조사)의최신화및정확도 검증 ◦ ‘21년도 전국 조간대, 염습지, 해초대 면적분포지도 제작 - 블루카본 종류별 활동자료 검보정을 위한 고정 표본지역 조사 ◦조간대, 염습지, 해초대 각각 3개 고정표본지역에서 현장조사수행(고정표본지역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선정) ◦ 현장기초자료 조사, 초분광 및 광학 무인항공기 측량 ◦ 조간대, 염습지, 해초대 초분광자료의 분광특성 파악 및 분류 - 국내 블루카본 종류별 시계열 자료생산 및 면적변화 추이분석 ◦전국 조간대, 염습지, 해초대별 변화 매트릭스 산출 ◦위성영상 부족 연도에 대한 추정치 도출방안 마련 ◦연안습지 종류별 시계열 연속성 분석 수행 - 연안습지 이용·관리 활동자료 수집 및 GIS-DB 구축 ◦ 연안습지 이용·관리활동 유형별 면적, 생산량, 변화량, 변화요인파악 및 최신화 ◦양식장 양식품목별 사료이용 등 온실가스 배출요인 파악 ◦양식장 양식품목별 분포면적 및 생산량 DB 구축(1990~2021) ❍ 블루카본 인벤토리 산정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염습지 국가 온실가스인벤토리 시범산정(1990-2020) ◦ 국가 블루카본 인벤토리 시스템(K-BIS) 기반의 활동자료 입력관리 ◦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검증·보고 및 MRV 개정(안) 마련 - 해초대 분포현황 시계열자료에 대한 불확도 분석 ◦ 해초대 면적산출자료의 불확도 추정 ◦추세의 민감도 및 불확도 추정 - 국가 블루카본인벤토리 시스템 유지관리 및 정보서비스 제공 ◦ 관리자 업무지원 도구 개발 ◦국내 블루카본 현황정보 가시화 및 대국민서비스 ◦ 국제사회 확산을 위한 영문 정보서비스 페이지 개설 ❍블루카본 통계 개선방안 도출 - 블루카본 면적산출 및 변화추이 정확도 향상방안 도출 ◦ 위성영상의 분광특성과 Texture 속성을 융합한 객체분류 고도화 - 국내 온실가스 통계 완전성 제고방안 마련 ◦ 연안습지 인벤토리 산정수준 및 누락부문(추출, 배수 등) 파악 ◦부문별 활동자료 후보군(국제기구통계, 국가공인통계, 행정통계 등)파악 및 이용가능성 분석(시계열성, 발간주기 등을 고려) ◦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한 관리활동별 연안습지 탄소 흡수·배출계수 파악 및 국내적용 타당성 분석 - 블루카본 온실가스 통계 개선로드맵 수립 ◦연안습지 종류별 통계개선요소 도출 ◦ 누락부문에 대한 자료확보 및 온실가스통계 산정방안 제시 ◦잠재 블루카본(비식생갯벌)에 대한 온실가스 통계 산정로드맵
지원 대상
❍단독 또는 공동수급체 ❍ 입찰참가자격을 구비한 자
유의사항
❍ 입찰공고일 현재 부정당업자로 지정되지 아니한 업체 ❍'조세포탈 등을 한 자'로서 유죄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문의처
❍ 과업내용 문의처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 연락처 : 044-200-5311 - 해양수산부 운영지원과 ◦연락처 :044-200-5096
사업 신청
-
매칭 키워드
사업 일정
기업 수행주관기관 수행2022.03.14
모집마감첨부 서류
2. 제안요청서(블루카본)-수정.hwp
2022년도 국가 블루카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용역_재공고문.pdf
3. 과업지시서(블루카본)-수정.hwp
입찰공고문(2022년도 국가 블루카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연구용역)(재공고).hml
제출 서류
발급 서류 (*필수)
사용자 서류 (*필수)
정부사업 탐색과 관리까지 웰로비즈에서 한 번에!
평균 공고 탐색 시간 2시간, 나에게 꼭 맞는 사업 찾기 어렵나요?
웰로비즈로 맞춤 지원·조달 사업을 매일매일 받아보세요.
민원 서류 간편 발급과 정부사업 인사이트도 확인할 수 있어요.
7일 무료로 시작하기이미 가입하셨다면?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