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A3 Foresight Program 신규 공모
최대 7,000만
2025.01.15 ~ 2025.02.14
모집마감한국연구재단
사업 내용
사업 개요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거점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긴밀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동북아 지역의 공통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 및 우수한 신진 연구인력 양성
지원 내용
○ 지원기간: 5년(3+2) ※ 3년 후 중간점검 결과에 따라 계속지원 여부 결정 ○ 지원규모: 연간 70백만원 이내(간접비 포함) - 간접비는 직접비의 최대 5% 이내로 주관연구기관과 협의하여 계상 - 중국과 일본 측 연구자는 NSFC와 JSPS에서 이에 상응하는 연구비를 지원받고, 본 과제 수행을 위해 연구비를 동일하게 분담 - 교류비(40% 이상), 세미나 개최경비, 공동연구 수행경비 등 - 기타 연구비 계상기준은 별첨된 ‘연구비 비목별 계상 및 집행기준’ 참고 ○ 연구비 관리 - 지급: 협약체결 후 재단에서 주관기관으로 연구비 지급 - 관리: 주관기관에서 중앙관리하며, 회계 관리사항을 증빙할 수 있도록 조치 - 사용: 협약용 연구계획서 및 「국제협력사업 관리지침」에 의거 사용 * 연구비카드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통합이지바로(EZbaro)를 통해 관리 * 연차별 집행내역은 해당연차 종료일까지 통합이지바로(EZbaro)에 등록 - 정산: 당해연도 연구기간 종료일까지 연구비 집행내역 등록 및 총(단계)연구기간 종료 후 3개월 이내에 전자정산 보고 * 다년협약 체결 과제의 경우, 동일비목 내에서 차기년도로 이월이 가능
지원 대상
○ 학술진흥법 제2조의 “대학”(부설연구소 포함) 및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 중 박사학위 소지자로, 해당기관장 명의로 신청이 가능한 자 - 본 사업은 한국연구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 내 연구과제 수 상한제도(인문사회분야 1책/3공 및 과학기술분야 3책/5공 등)에 미포함 - 상대 측 연구자의 경우, NSFC/JSPS에서 제시하는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연구자
유의사항
○ 제외대상 - 본 사업은 한국연구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 수 상한제도(과학기술분야 3책/5공 등)에 포함되지 않음 - 연구개시 예정일자를 기준으로 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 진행되는 국제협력사업*에 연구책임자로 참여 중이거나 예정인 자 * 단, 국제학술회의지원 등 연 1,500만원 이하 세미나 성격 및 단기연구교류지원(항공권 지원) 사업은 제외 (해당 연구자는 신청제한 해제 등의 조치가 필요하므로 반드시 3~4일 전에 온라인 신청) * 한국연구재단 기관고유 국제협력사업: 연구교류지원(양자/일반), 한중(NRF-NSFC) 협력연구, 한일(NRF-JSPS) 협력연구, 한중핵심공동연구, A3 Foresight Program, 한중(NRF-CSTEC) 신진과학자교류사업, 한독특별협력(DFG/DAAD/AvH 관련), 한·북유럽 특별협력(STINT 및 노르웨이/덴마크/핀란드), 한·미 인문분야 특별협력, NRF-IIASA 협력, NRF International Mobility, NRF International Network Program 등 - 신청마감일 전까지「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등 제규정에 의거 참여제한을 받는 자는 신청할 수 없음. 신청 후 신규과제 선정 중 참여제한을 받은 경우, 반드시 전문기관(한국연구재단)에 사실을 알려야 하며 동 과제는 선정평가 및 선정대상에서 제외 -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해당 과제의 결과보고서 제출기한이 경과하였음에도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연구자 - 동일주제로 재단 및 타 기관의 지원을 받은 과제는 신청 불가 * NTIS 유사성 검사 및 전문가 검토 후 중복성이 인정되는 경우 미 선정 - 본 사업 내에서 1인 1과제만 참여 가능(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원 등) ○ 상대측 연구자(중국 및 일본)와 연구과제 신청에 대해 사전 협의 후, 한국 연구자는 한국연구재단에, 상대측 연구자는 해당 국가 지원기관(중국 NSFC, 일본 JSPS)에 각각 신청 ○ 신청기간 - 연구자 신청기간(접수마감일): 24.8.1(목)~24.9.2(월) 17:00까지(한국시간) - 주관연구기관 검토·승인 기간: 24.8.1(목)~24.9.3(화) 17:00까지(한국시간) - 신청 절차: 연구자 신청 → 주관연구기관 승인 → 신청 완료 * 접수기간은 한․중․일 삼국이 동일하나, 접수마감 시간은 상이함 * 주관연구기관 미승인 과제는 미접수로 처리 * (한)NRF, (중)NSFC 및 (일)JSPS 중 한 기관이라도 접수되지 않은 과제는 평가 시 제외 * 연구계획서 업로드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유효성 검증 오류 등) 연구자 신청마감 최소 5일 전까지 신청 완료 요청 * 마감시간 이후에는 추가로 접수할 수 없음 ○ 제출서류: ① 국문신청서 ② 영문신청서 ③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동의서 각 1부 - 상기 3종 서류는 필수 제출자료로, 온라인 등록 시 ②와 ③은 첨부파일로 전산시스템에 업로드 등록 - 3국 공통 접수과제에 한해 평가를 실시하며, 과제명(영문) 뿐만 아니라, ② 영문신청서(3개국 공통 제출자료)가 상이할 경우 무효 처리됨 - ③에는 상대국 연구자를 제외한 한국 측 연구진이 모두 포함되어야 함 - ①과 ②의 내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②를 기준으로 판단함 ○ A3 Foresight Program 연구비 집행 유의사항 - 총 사업비 중 40% 이상을 국외여비 항목으로 계상 및 집행 - 국외여비 집행 관련, 상대측 연구자들과의 사전 합의를 통해 상호주의 원칙하에 협력국가별로 아래 2개 유형 중 택일하여 진행 · 유형1: 파견 측은 왕복항공료 및 현지생활비(숙박비, 식비, 시내교통비)와, 상대국 국내여비 등 부담, 개최국은 공동세미나 개최경비 부담 · 유형2: 파견 측은 왕복항공료(목적지에서 가장 가까운 국제공항)만을 부담하고, 초청 측은 현지생활비(숙박비, 식비, 시내교통비)와 국내 여행비 부담, 개최국은 공동세미나 개최경비 부담 - 공동세미나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개최할 수 있으며, 기타 국가에서는 개최할 수 없고, 한중일 3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에서 연구비를 집행할 수 없음 - 한국연구재단은 중국과 일본 연구자 간의 교류비용을 부담하지 않음 - 인건비는 총 사업비의 15% 이내로 함.(내․외부 인건비 및 학생인건비 총계) - 연구시설․장비비와 연구재료비의 합은 총 사업비의 5% 이내로 함 - 연구수당은 총 인건비(지급용 및 미지급용 합계)의 20% 이내, 총 사업비의 3% 이내로 함
문의처
○ 사업 관련 - 한국연구재단 국제교류팀 조은혜 수석 연구위원 02-3460-5682 grace292@nrf.re.kr ○ e-R&D 시스템 등 전산시스템 - 한국연구재단 정보시스템지원팀 042-869-7744
매칭 키워드
사업 일정
기업 수행주관기관 수행2025.02.14
모집마감25년 2월
25년 3~5월
25년 6~7월
2025.08.01
첨부 서류
(붙임1) 2025년도 A3 Foresight Program 공고문(안).hwp
(붙임2) (국문) 연구계획서 양식.hwp
(붙임3) (영문) 영문신청서 양식.doc
(붙임4)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동의서 양식.hwp
제출 서류
작성 서류 (*필수)
사용자 서류 (*필수)
정부사업 탐색과 관리까지 웰로비즈에서 한 번에!
평균 공고 탐색 시간 2시간, 나에게 꼭 맞는 사업 찾기 어렵나요?
웰로비즈로 맞춤 지원·조달 사업을 매일매일 받아보세요.
민원 서류 간편 발급과 정부사업 인사이트도 확인할 수 있어요.
7일 무료로 시작하기이미 가입하셨다면? 로그인하기